반려견 정보

전체기사 보기

포메라니안 키우기? 모르면 '귀여운 악동' 키우는 꼴 된다!

사랑스럽지만 까다로운 반려견, 포메라니안 키우기 전에 꼭 알아야 할 5가지

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포메라니안(Pomeranian)은 작고 깜찍한 외모와 풍성한 털로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하지만 그 매력 뒤에는 예상치 못한 난관이 있다. 적절한 관리와 훈련 없이는 "귀여운 악동"으로 돌변할 수 있다. 이 반려견을 키우기 전, 보호자라면 꼭 알아야 할 5가지 포인트를 살펴본다. 1. 작은 체구 속 큰 개성, 포메라니안의 특징 포메라니안은 작지만 강한 존재감을 가진 토이 그룹 반려견이다. 평균 체중은 1.3~3.2kg이고, 어깨 높이는 약 20cm로 작지만, 풍성한 이중모와 여우 같은 얼굴이 매력적이다. 다양한 털 색상 : 오렌지, 흰색, 세이블 등 약 20여 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다. 대담한 성격 : 활동적이고 영리하지만 고집이 강하다. 조기 훈련이 필수다. 2. 포메라니안은 관리가 까다롭다? 건강 유의사항 필독! 사랑스럽다고 방심하면 큰일 난다. 포메라니안은 작고 연약한 체구를 지녀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다리와 관절 보호 :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는 습관을 막아야 하고, 칼슘 보충이 중요하다. 털 관리의 중요성 : 풍성한 이중모는 빗질로 엉킴을 방지해야 하고, 여름철에는 시원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온도

세상에서 가장 작은 강아지 '치와와'

반전 매력의 치와와

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세계에서 가장 작은 강아지 치와와, 치와와 특징과 반전매력에 대해 알아보자 여러 이야기가 유래로 전해 내려오지만, 대표적으로 알려진 유래국가는 멕시코이다. 멕시코에서 유래된 치와와는 초소형견이지만 큼지막한 귀가 특징적이다. 또한 털의 길이에 따라 장모치와와, 단모치와와로 나뉘어진다.한국에서는 털의 길이와 관계없이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호기심 대마왕 치와와는 작지만 강한 강아지이다. 호기심이 강하기에 직접 만져보고 다가가는 용감성도 보인다고 한다. 또한 자그마한 몸은 누구보다 재빠른편이다. 재빠르게 움직이며 호기심이 강한 치와와는 쾌활하고 애교가 많다. 그렇기에 테리어 기질을 보인다고 전해진다. 반면 외모는 기만하고 도도하다. 동그란 눈과 커다란 귀가 기만한 분위기를 더욱 전해준다. 하지만 치와와는 호기심 뿐만 아니라 충성심 또한 강하다. 멕시코에서는 시신을 매장할때 세상을 떠난 반려 치와와 뼈를 함께 묻는 전통이 있다고 한다. 치와와가 가족애가 강하고 가족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다. 그렇기에 치와와의 뼈를 시신과 함께 묻으면, 치와와가 시신의 안식을 지켜준다는 유래가 존재한다. 이러한 충성심은 때로는 질투심을 유발하기

작은 얼굴! 큰 눈의 소유자! 치와와 너는 누구니?!

땡글땡글한 매력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치와와의 모든 것

펫아시아뉴스(Pet Asia News) 작은 얼굴! 큰 눈의 소유자! 치와와 너는 누구니?! 치와와는 1940년대부터 반려견으로 사랑받기 시작한 견종이다 본격적으로는 2000년대부터 여러 매체에 소개되면서 더욱 유명해졌다 치와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 치와와의 어원 멕시코에서 살던 견종으로, 미국으로 전해진 뒤 멕시코 치와와 주의 이름을 따왔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멕시코가 치와와의 고향은 아니다. 다른 견종들과 마찬가지로 치와와의 역사에도 여러 설이 존재한다. 그 중 아즈텍 유적에서 발견된 테치치의 그림은 지금의 치와와와 상당히 유사하다. 때문에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아즈텍의 역사를 유력 후보로 본다고 한다. 치와와의 평균 크기키는 13~22cm, 몸무게는 1.8~2.7kg으로 세계에서 가장 작은 견종으로 알려져 있다. 치와와의 털 종류치와와의 털은 롱타입과 스무드타입으로 나뉜다. 길이가 길어 실타래처럼 부드러운 털이 매력적인 종을 롱타입, 짧은 털이 몸에 딱 달라붙어 윤기가 흐르는 종을 스무드 타입이라고 한다. 장모종과 단모종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치와와의 반전매력세계에서 가장 작은 견종이라는 타이틀이 무색할 정도로, 치와와는 적극적이고 활발한

반려견과 동행하는 "따라" 훈련방법

반려견과 반려인 모두 익숙해지기 위해서는 반듯이 규칙적인 패턴과 행동을 위한 반려인의 노력이 필요

반려동물뉴스(CABN) 우리는 반려견과 함께 산책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명령어와 손동작에 대한 정확한 규칙이 있어야 한다. 보통 훈련된 반려견의 경우는 따라라는 구호와 함께 반려견이 보호자 옆에 서서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걷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훈련 방법은 보호자와 반려견이 반복훈련을 통해 서로 교감하며 훈련방법을 정확히 익혔을 때 가능한 것이다. 우리는 산책을 할때 개줄을 U자형으로 잡고 걸어야 한다. 이때, 반려견이 나와 반대 방향으로 가려고 하거나지시를 따르지 않을때는 순간적으로 줄을 잡아 당기면서 "안돼"라고 이야기 한다. 이때 너무 강하게 줄을 당기면 안되며 반려견이 해당 행동에 대해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수준으로 챔질을 해야 한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은 오른쪽 가슴 부위를 반려견이 바라 볼 수 있도록 반려견이 좋아하는 물건이나 간식을 오른손에 가지고 있어 반려견으로 하여금 시선이 집중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러면 훈련방법에 대해 보다 더 자세히 알아 보자. 반려견과 함께 설때는 오른손에 개줄을 잡고 왼손은 허벅지를 가볍게 친다. 그리고 "따라"라는 구호와 함께 반려인과 반려견이 함께 걷는 법부터 천천히 익혀 본

반려견 건강을 망치는 한마디! Top3

반려견의 건강을 해치는 소비자들에게

반려동물뉴스(CABN) 현재 반려견을 키우는 견주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해 본 결과 반려견에 대한 건강을 망치는 내용에 대해서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반려인들의 설문조사롤 통해 실시한 결과를 토대로 반려견 건강을 망치는 한마디에 대해 내용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 반려견에게 사람이 먹는 것을 준다. 반려견을 키울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이 강아지가 먹어야 할 음식과 먹지 말아야 할 음식의 구분이다. 우리는 아무 음식을 주면 안된다. 반려인이 함께 식사하는 환경에서 반려견이 다가와서 음식을 달라는 신호를 보내더라도 함부로 반려견에게 음식을 주면 안된다. 반려견에게 사람의 음식을 주게 되면 사료를 먹으려고 하지 않는다. 사료의 성분은 사람이 먹는 음식과 다르다. 사람의 음식 성분중에는 반려견의 건강을 해치는 음식도 많다. ▶반려견 사료 선정에 저렴한 사료를 먼저 구입한다. 반려견을 키우는 사람들이 사료를 선정함에 있어서 가격을 고려해서 저렴한 가격의 사료를 성분도 보지 않고 구입하는 경우가 많다. 사료의 경우에는 육분이나 육골분등 렌더링된 동물의 사체나 AI 살처분된 죽은 동물을 가공하여 사료에 첨가한 경우도 많다. 국내 사료에는 법률적인 부분